보건복지부는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과 함께 최근 7년간(2015~2021) 자살사망자 801명의 유족 9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심리부검(Psychological Autopsy)은 사망 전 자살자의 심리 행동 양상과 변화 상태를 주변인의 진술과 기록을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검토해 그 원인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15년부터 매년 심리부검 결과를 분석하고, 누적된 자료를 종합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심리부검 대상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경찰 등을 통해 의뢰됐거나, 유족이 직접 면담을 의뢰한 19세 이상 자살사망자들이다.
한편, 이번 분석에는 코로나19 관련 경제·사회적 변화가 자살위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는 29명의 사례가 포함되었다.
자살사망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을 보면 7년간 심리부검 분석대상이 된 자살사망자는 19세 이상 성인 801명으로, 남성 542명(67.7%), 여성 259명(32.3%)이며, 생애주기별로는 중년기(35~49세; 33.7%) 비율이 가장 높았다.
자살사망자의 고용상태는 피고용인이 310명(38.7%)으로 가장 많았고, 실업자(199명, 24.8%), 자영업자(132명, 16.5%)가 뒤를 이었다.
취업상태였던 자살사망자 442명 중 140명(31.7%)이 서비스와 판매 종사자, 62명(14.0%)은 전문가와 관련 종사자, 57명(12.9%)은 단순 노무 종사자였다.
사망 당시 경제상태의 경우, 소득이 전혀 없거나(18.7%)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22.1%)인 저소득층 비율이 전체 심리부검 대상자의 40.8%(327명)였고, 약 50%가 부채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유형으로는 생활비(23.5%(교육비, 의료비 제외)), 주택임차 및 구입(21.3%), 사업자금(18.5%) 등이었다.
거주형태를 보면 전체 심리부검 대상자 중 148명(18.5%)이 1인 가구로, 이 중 34세 이하 청년층 비율이 43.9%(65명)로 특히 높았다.
➊ (사망 장소) 자택(55.8%) > 공공장소(19.6%)> 야산·교외(7.9%)> 학교·직장(6.2%)
➋ (사망 방법) 목맴(51.8%) > 추락(20.6%) > 가스중독(14.9%) > 익사(2.9%)
➌ (최초 발견자) 가족(46.3%) > 모르는 사람(18.6%) > 경찰·소방(15.4%)
➍ (음주 여부) 비음주(48.2%) > 음주(32.0%) > 파악 안 됨(19.9%)
➎ (유서*) 남기지 않음(52.1%) > 유서를 남김(46.7%)
* 내용 : 가족, 친구 등을 향한 개인적 메시지(86.1%), 자살 이유(28.1%), 사후처리 부탁(22.5%)
자살 사망원인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부검 면담 대상자가 사망 전 경험한 스트레스 사건 분석 결과, 자살사망자 1명당 평균 3.1개의 사건을 동시에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사건은 부모·자녀 등 가족관계(60.4%), 부채·수입 감소 등 경제문제(59.8%), 동료 관계·실직 등 직업문제(59.2%)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자살사망자는 스트레스 사건 발생 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 또는 악화하여 자살에 이르는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 중 상당수(801명 중 710명, 88.6%)가 정신과 질환을 진단받았거나, 질환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유족이 질환명을 모르는 경우 보충적으로 평가도구를 통해 정신질환을 추정했다.
특히 전(全) 연령층에서 우울장애가 82.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32.8%), 불안장애(22.4%) 등이 뒤를 이었다.
정신건강 문제로 치료나 상담을 받은 자살사망자는 심리부검 대상자의 52.8%(423명)로 여성(70.7%)이 남성(44.3%)에 비해 높았다.
사망 전 3개월 이내 도움을 받기 위해 기관을 방문했던 자살사망자 394명 중 50.3%(198명)는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했고, 42.6%(168명)는 정신건강의학과가 아닌 병·의원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방문 기관에 차이가 있었는데, 청년층의 경우 정신건강의학과(68.7%)를 가장 많이 찾았고, 노년층은 정신건강의학과가 아닌 일반 병·의원(78.6%)을 찾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중·장년기 자살사망자의 경우 약 12% 정도가 병·의원 외에 금융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거 자해·자살 시도경험을 가진 이는 자살 재시도, 사망으로 연계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부검 대상자의 35.8%(287명)는 사망 전 과거 1회 이상 자살 시도를 했던 경험이 있으며, 10.2%(82명)는 자해 행동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행동은 죽고자 하는 명백한 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에 고의로 해를 가하는 행동을 말한다.
자살 시도경험은 생애주기별로 균등하게 분포된 반면, 여성(46.7%)이 남성(30.6%)에 비해 높아 성별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애주기별로는 (장년기) 41.0% > (노년기) 40.5% > (중년기) 33.3% > (청년기) 32.8% 순으로 나타났다.
자해 행동은 특히 청년기에서 18.6%(46명)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자해 행동을 한 자살사망자(82명)의 56.1%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 952명 중 95.2%(906명)는 사별 이후 일상생활에서 변화를 경험했고, 특히 심리상태의 변화(97.0%)가 두드러졌다.
유족의 83.3%(793명)는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60.9%(580명)는 중증도 이상*의 우울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별 기간이 3개월 이하로 짧은 유족의 경우 심각한 우울을 호소하는 비율이 25.4%(51명)로 높았고, 특히 고인과의 관계에서 유족이 부모(28.0%) 및 배우자(25.6%)인 경우 심각한 우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에 참여한 대부분의 유족(71.4%)이 수면 문제를 겪고 있으며, 20.6%(196명)는 음주 문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 복합비애 항목 조사대상 480명 중 80.0%(384명)가 경계성 이상의 복합비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 60%의 유족(566명)이 면담 당시 자살 생각이 있다고 답했는데, 사별 기간이 3개월 이하(61.2%)로 짧거나, 25개월 이상(61.5%)으로 긴 유족에게서 자살 생각을 하는 비율이 높았다.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서는 유족이 부모일 때 자살 생각 응답 비율(69.2%)이 가장 높고, 형제·자매(61.1%), 배우자(59.3%), 자녀(56.5%) 순이었다.
자살 유족의 72.3%(688명)는 고인과 유족을 향한 비난, 가족이 받을 충격 등을 우려해 자살 사실을 알리지 못한 대상이 있다고 응답했다.
자살 사실을 알리지 못하는 대상에는 친한 친구나 동료 58.4%, 친인척 34.7%, 자녀 14.0%, 부모 9.3%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의 42.8%(343명)는 생존 당시 자살로 가족, 지인(친구, 직장동료 등)을 잃은 자살 유족인 것으로 나타나 자살시도자뿐 아니라 유족에 대한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2020년 1월 이후 자살사망자 132명 중 코로나19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가 자살사망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29명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모든 사례가 코로나19 상황 이전부터 직업·경제, 대인관계, 정신건강 문제 등으로 자살에 취약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가 자살사망 발생과 직간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➊ (성별) 남성(65.5%, 19명), 여성(34.5%, 10명)
➋ (연령) 30대(31.0%, 9명), 20대(31.0%, 9명) * 40대, 50대 각 4명, 60대 이상 3명
➌ (고용) 피고용인(24.1%, 7명), 자영업자(24.1%, 7명), 실업자(17.2%, 5명) * 그 외 은퇴자, 학생 등
➍ (혼인) 미혼(51.7%, 15명), 기혼(41.4%, 12명) * 사별, 재혼 각 1명씩
29명의 생애 스트레스 사건을 분석한 결과, 19명(65.5%)은 사망 전 직업 스트레스를, 23명(79.3%)는 경제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사업부진·실패를 겪은 경우는 9명으로 대부분 관광·문화·교육 산업 종사자였으며, 관련 산업의 실직자도 2명 있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업무부담이 크게 늘어 어려움을 겪은 자살사망자도 2명 있었다.
경제적 스트레스를 경험한 23명 중 10명은 부채, 8명은 현재 혹은 미래의 경제적 상태에 대한 불안감 등을 호소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자살사망자(28명, 96.6%)가 정신과 질환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중 15명은 코로나19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사건으로 정신건강 문제가 악화한 경우로 파악됐다.
심리부검은 자살 원인에 대한 분석정보를 얻는 목적 외에도 유족의 건강한 애도를 도와 심리적 지지와 위안을 줄 수 있다.
「2021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는 보건복지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누리집에 7월 20일(수) 게시되며,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의 자살예방 실무자들 및 관계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www.mohw.go.kr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www.kfsp.org
#심리부검 #면담결과 #생명존중재단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브라주카 #브라주카그램 #다온재가복지센터 #브라질 #중남미 #쌈바 #삼바 #카니발 #여행 #브라질커피 #브라질축구 #아마존 #재가센터 #방문요양 #방문목욕 #장기요양 #노인장기요양
'비닐·투명페트병' 배출요일 안 지키면?...벌금 낼 수도 있거나 당일 수거 안 돼 (0) | 2022.07.22 |
---|---|
여름에 탄소를 줄이는 방법...아껴 쓰면 된다? (0) | 2022.07.22 |
‘카카오 알림톡’으로도 수도요금 확인하기...대구시 7월부터 서비스 개시 (0) | 2022.07.16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로 헌혈 참여 가능...정부24에서 신청 (0) | 2022.07.16 |
치매 어르신 아침까지 침대에 묶어 놓은 요양원...오 NO!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