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같은 날씨를 겨울날씨라고들 한다. 겨울은 겨울다와야 한다고도 하고 말이다. 그런데 추워도 너무 추우니 난방비가 너무 많이 드는 계절이기도 하며 없는 이들에게는 힘든 겨울이다.
한동안 핫팩이라는 제품을 많이 사용했던 적이 있다. 추워지면 입술도 마르고 손도 트고 손도 시리니 핫팩을 사용하면 조금은 도움이 되기도 한다. 겨울철마다 사는 립밤과 더불어 핫팩도 한 친구다.
그런데 핫팩으로도 화상을 입을 수 있다고 하니 참 아이러니가 아닐 수가 없다.
화상은 화염이나 고열 등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는 상태를 말한다. 보통 화상하면 활활 타오르는 불이나 펄펄 끓는 물처럼 특수한 상황을 생각하지만, 일상에서도 얼마든지 화상이 동반될 수 있다. 요리하다가 뜨거운 기름이 튀어 상처 입기도 하고, 다리미나 고데기 같은 전열기에 데이기도 하며, 뜨거운 물을 틀었다가 온도가 너무 많이올라가 놀랐던 경험이 한 번씩은 있을 것이다.
사실이다. 계란 프라이를 하다가 기름이 튀기도 해 고생을 한 적도 있다.
하지만 저온화상은 자신이 화상을 입었다는 사실조차도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따뜻하다고 느끼는 4~50도 정도의 온도에도 1~2시간 정도 지속해서 노출되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니 믿을 수 있겠는가? 이를 저온화상이라고 하는데 저온화상은 초기에 통증이 적고 증상이 가벼워 치료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오랜 시간 열에 노출되어 생긴 상처이기 때문에 오히려 일상에서 만나는 화상보다 더 깊은 상처를 만들게 될 수도 있다니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
우리 피부 표면의 단백질은 체온보다 높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 조직이 손상되고 물질이나 염증이 생기게 된다. 특히 노약자나 영유아처럼 피부가 연약한 사람들은 심하면 피부 조직이 괴사하여 갈색으로 변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저온화상을 입게 되면 초기에는 피부가 약간 붉어지고 어딘가에 쓸리는 것 같은 따끔거린다. 고온 화상에서 볼 수 있는 물집이나 통증은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해당 부위의 피부색이 변하고 통증이 심해지면서 물집이 올라오게 된다. 저온화상은 일반적인 화상에 비해 병변의 부위가 좁지만, 초기에 발견해 치료받는 것이 가장 좋다.
겨울철 저온화상을 입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이유는 온열 기구와 거리두기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별히 핫팩의 경우 거의 맨손으로 주머니 속에서 만난다. 장시간 만나다 보면 만나지 않아야 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난로 같은 온열기구는 적어도 1m 이상 거리를 두고 이용하고, 춥다는 이유로 너무 가까이 다가가거나 장기간 사용하지 않도록한다.
만약 피치 못할 사정으로 주위에 계속 머물러야 한다면 담요 등을 둘러 열기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야 한다. 특히 온열 기구를 사용하다가 피부 표면이 가렵다고 느껴진다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피부 온도를 내리도록 해야 한다.
겨울철 바람에 그대로 노출되는 뺨이나 귀 부위에 핫팩을 그대로 가져다 대는 사람들이 많은데 핫팩의 최고 온도는 70도까지 거뜬히 올라갈 수 있으므로, 장시간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것이 좋다. 저온화상의 원인이다.
만약 체온을 유지하기위해 핫팩을 부착해야 한다면 피부 위에 바로 붙이기보다는 옷을 한 겹 입고 그 위에 붙이도록 하자. 주머니에 넣고 사용할 때도 손수건 등으로 감싸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말이야 쉽지만 손이 당장 시려운데 참을 수 있겠는가. 그래도 건강과 안전을 위해 조금은 쉬어 가는 것도 좋겠다.
추운 날 잠자리를 따뜻하게 데워주는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등도 저온화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 옷을 얇게 입은 채로 온열매트나 전기장판에서 잠자는 사람들이 많은데, 가능하면 피부와 매트가 직접 닿지 않도록 옷을 갖춰 입고 잠을 청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고 하겠다. 물론 화재와 누수도 신경을 써야할 터이다.
답답해서 옷을 껴입는 게 불편하다면 매트 위에 이불을 깔아 피부에 직접 닿지않게 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잠자리에 들기 전에 미리 온열매트를 틀어 놨다가 자기 직전 온도를 낮추거나. 일정 시간이 되면 꺼지도록 타이머를 맞춰두는 것도 방법이다. 가능한 온도는 체온과 가까운 37도에서 더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겠다. 그리고 미리 준비하면 시간을 더 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소리 없는 살인자, 고혈압...나는 안전한가? (0) | 2023.01.13 |
---|---|
치매환자의 전문치료 길 넓어져...치매안심병동 인센티브 시범사업 연장 (0) | 2022.12.30 |
수족냉증?...손발이 차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할까? (0) | 2022.12.27 |
난치성 이명과 치료, 예방법...맑은 소리 듣기 (0) | 2022.12.23 |
백신 맞은 지 3개월 지났다면 '2가백신' 접종받자!!!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