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봉사활동을 하면서 편마비인 어르신을 담당한 적이 있었다. 2명이 조를 구성해 함께 방문해 기도하고 마비된 팔을 주물러 드리고 간단한 청소를 하고 오는 식이었다.
자녀들이 없지 않아 함께 생활했지만 누추한 집에 외부에서 사람이 오는 것을 꺼린다는 얘기를 어르신으로부터 들은 적이 있었다. 6개월 가까이 지나면서 굽어졌던 팔이 펴지고 돌아갔던 입도 상당히 많이 보통으로 돌아오는 것을 경험했던 일이 있었다.
재가복지센터를 운용하면서 편마비를 가진 분들을 가끔씩 마주하곤 하는데 가을바람이 불어오면서 다시 그 생각을 하게됐다. 찬바람이 문제렸다?
소방청은 일상생활 중에 갑자기 편마비 증세, 말 어눌함, 안구 편위, 전신경련 등의 증세를 발견하면 뇌졸중으로 인지하고 지체없이 119에 신고해달라고 최근 당부했다.
뇌졸중은 증세가 시작되고 최대 4, 5시간 이내에 수술 등 치료를 시행하면 사망률이 감소하는 반면, 골든타임을 놓치면 사망하거나 영구적인 기능 장애를 가져오는 질환인 만큼, 무엇보다 조기 발견과 빠른 치료가 예후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다.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제때 치료 받지 못하면 1분당 190만개의 뇌세포가 손실되고 1시간 당으로는 1억 2000만개의 뇌세포가 손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무리 늦어도 3~4, 5시간 내에는 치료를 받아야 일부라도 남아있는 뇌세포의 생존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정맥내 혈전용해술(IV tPA) 이외에도 혈관조영술을 통한 혈관내치료(Endovascular treatment)로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중증 뇌졸중 환자의 치료시기(time window)가 24시간까지도 가능해졌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양팔을 들어 본다든지 누운 상태에서 양 발을 들었을 때 한 쪽만 버틸 수 있는 경우, 생각은 나는데 말이 잘 안 나오고 발음이 어눌한 경우, 안면마비 등의 증세가 하나라도 있으면 뇌졸중일 가능성이 70%이 넘는다. 이 경우는 최초로 이상소견이 발생한 시각 등을 반드시 확인해 119구급대원에게 알려줘야 한다.
소방청은 현재 중증응급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119구급대의 전문적인 응급의료서비스 외에도 ‘범국민 뇌졸중환자 치료예후 향상’을 위해 관계부처와 여러 노력을 펼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병원전단계 중증도분류체계를 공동으로 개발해 뇌졸중환자 같은 중증환자는 대형병원으로 신속히 이송하고, 반대로 비응급환자는 소형병원급으로 분산 이송하는 이송체계를 시범운영 중이다. 뇌졸중학회와도 오는 11월부터 시범사업을 통해 뇌졸중환자가 병원전·병원단계에서 원스톱으로 치료받을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시도 소방본부별로 중증심뇌혈관 환자의 신속한 이송과 치료 연계를 위해 관계 의료기관과 거버넌스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부산소방본부와 동아대학교 심뇌혈관센터 간 원스톱 진료체계가 실제로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치료되고 환자 회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증명됐다.
지난 14일 한 방송사를 통해 119구급대가 뇌졸중 의증 환자를 이송하면서 이송할 병원과 핫라인으로 환자 상태를 알리고, 그에 따라 병원측은 미리 준비해놨다가 119구급대 도착시 바로 치료에 돌입하면서 골든타임을 확보해 환자 예후가 좋아진 사실이 방송됐다.
이흥교 소방청장은 “뇌졸중 초기 증세는 가벼운 두통 증세부터 실신까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국민들은 이상 증세가 있을 때 119로 바로 신고해 줄 것”을 재차 당부하면서 “앞으로 소방청은 중증응급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관련 기관과 함께 끊임없이 연구·개발하면서 최선의 응급처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무도 병을 피해갈 수는 없다. 다만 알고 미리 준비한다면 조금은 피해가 덜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우리가 이를 잘 닦고 손발을 잘 씻는 것도 그와 같은 이유가 아닌가? 보이지 않는 병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뒤따른다면 조금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믿으므로 글을 마친다.
[출처/참조] 정책브리핑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기관지 질환...폐암보다 무섭다? (0) | 2022.10.12 |
---|---|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접촉 대면면회 허용 (0) | 2022.10.04 |
몸에 좋은 설탕은 어떤 설탕일까?...14가지 유형의 당(2) (1) | 2022.09.22 |
독감 무료 예방접종 9월 21일부터 시작 (0) | 2022.09.21 |
몸에 좋은 설탕...14가지 유형의 당(1)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