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합계출산율, 그러니까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걸로 예상되는 아이 수가 0.81명까지 떨어졌다. OECD 국가 평균 1.59명의 절반 수준이고, 특히 1명 아래인 나라는 우리가 유일하다.
엄마들의 평균 출산 연령이 10년 전 31.4세에서 작년에는 33.4세로 2살이 많아졌다.
30대 후반과 40대 초반 여성들 출산율이 늘어났지만,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은 그 이상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과 전남만 1명 이상이었고 나머지 지역은 1명 아래, 특히 서울은 0.63명으로 가장 낮았다.
올해는 더 떨어질 걸로 보인다. [에스비에스]
어제 오늘 일이 분명 아니며 정말 심각하다.
6월까지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감소한 12만 8천 명까지 내려갔기 때문이란다.
수많은 전문가들이 예방책을 내 놓았으나 이웃나라 일본의 수치보다 현저히 낮아져 앞으로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상상하기 조차 두렵다.
이민자들도 받아 들이기 쉽지 않은 우리 나라 문화왕 정서상 해결방법은 통일 밖에 없는 것인가? 자체적으로 해결이 안 되는 것인가? 도대체 한국이 어쩌다 이런 지경에 이르렀는지 가슴이 답답하다.
서울시가 청소년 부모를 위해 아동양육비로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을 지원한다. 이번 양육비 지원은 여성가족부 시범사업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국비와 시비 5:5 매칭으로 추진된다.
청소년 부모에게만 지급한다니 아쉽기는 하지만 정책이 어떻게 지원될지 지켜볼 일이다.
만 24세 이하,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대상...동주민센터에서 신청
부모 모두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라 만 24세 이하이고, 기준 중위소득 60%이하인 가구이면 올해 12월까지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단, ‘청소년한부모 아동양육 및 자립지원’을 받는 가구는 제외된다.
청소년 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시범사업 안내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60%이하의 청소년부모 가구의 자녀 ※ 청소년 부모의 연령 기준 : ‘97년 6월 1일 이후 출생자를 기준으로 함(‘22년 연말까지 만 24세 이하로 간주) ○ 지원내용 :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의 아동양육비 지원 ○ 신청권자 : 지원대상 가구원·친족·기타 관계인 ○ 신청장소 : 주민등록상 청소년부모 자녀의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청기간 : 수시 신청 접수(다만, 소급 지원 불가) ○ 구비서류 : 아동양육비 지원 신청서, 신분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소득금액증명 서류 등 ○ 문의 : 가족상담전화 1644-6621(내선 2번) 또는 동주민센터 |
신청은 주민등록상 자녀의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에 방문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거주지 동주민센터 또는 가족상담전화(1644-6621, 내선2번)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한부모 청소년은 「한부모가족지원법」 등에 따른 지원을 받았지만, 청소년 부모로만 이뤄진 가정은 별다른 지원이 없어 어려움이 있었다.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청소년부모는 약 132가구(2022년 6월 기준)로 추정된다.
청소년 부모에게 학습정서, 생활도움, 심리상담 등 통합지원...대상자 모집
아울러 서울시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청소년 부모 가구를 대상으로 종로와 동대문 등 10개 ‘자치구 가족센터’에서 학습정서 지원, 생활도움 지원, 심리상담 및 전문 상담기관 연계등 통합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사업 참여를 원하면 ‘패밀리 서울’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자치구 가족센터에 방문 접수하면 된다.
서울시 청소년 부모 사업 안내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청소년부모 가구 ○ 지원내용 : 학습정서 지원, 생활도움 지원, 심리상담 및 전문 상담기관 연계 등 ○ 신청방법 : 패밀리 서울 홈페이지에서 ‘청소년부모’ 검색 후 온라인 신청 또는 가족센터에서 방문 접수 ○ 문의전화 : 서울시 가족센터 센터지원팀 02-318-8167 |
서울시 청소년 부모 사업 담당 가족센터
센터명
|
주소
|
연락처
|
서울시 가족센터
|
중구 소파로4길 6
|
02-318-0227
|
구로구 가족센터
|
구로구 우마2길 35,
가족통합지원센터 2층 |
070-4066-0535
|
동대문구 가족센터
|
동대문구 무학로 89,
동대문구민행복센터 2층 |
070-7459-3284
|
관악구 가족센터
|
관악구 신림로3길 35,
김삼준문화복합시설 3층 |
070-5030-5422
|
서초구 가족센터
|
서초구 방배로10길 10-20, 4-5층
|
070-7477-2406
|
금천구 가족센터
|
금천구 금하로 11길 40, 1층
|
02-803-7747
|
서대문구 가족센터
|
서대문구 통일로27길 19, 2층
|
070-4447-1586
|
도봉구 가족센터
|
도봉구 도봉로 552,
도봉구민회관 2층 |
02-995-6800
|
영등포구 가족센터
|
영등포구 영등포로84길 24-5,
신길종합사회복지관 4층 |
02-2678-2193
|
은평구 가족센터
|
은평구 통일로 1050
|
070-7462-5243
|
종로구 가족센터
|
종로구 종로53길 29,
복합복지시설 토월(창신동) 2층 |
02-6271-3511
|
인구절벽을 넘어서 인구절망이 되지 않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홀로 가구...어디에 어떻게 살아가나? (0) | 2022.09.02 |
---|---|
문화누리카드 지원금 10만원→11만원으로 인상!...9월 1일부터 적용 (0) | 2022.08.26 |
부여·청양 특별재난지역 선포 (0) | 2022.08.24 |
아동권리, SNS에서 잊혀질 권리...부모라고 사진공유는 월권행위 (0) | 2022.08.21 |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나는 지금 행복한가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