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21일 당·정 협의를 통해 「국민 간병비 부담 경감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수술 후 입원하는 급성기병원부터 요양병원, 퇴원 후 재택까지 환자 치료 전(全) 단계별로 간병서비스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가 법제화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제도를 개편한다.
중증 수술환자, 치매, 섬망 환자 등 중증도와 간병 요구도가 높은 환자들을 위한 중증 환자 전담 병실을 도입한다. 간호사 1명이 환자 4명, 간호조무사 1명이 환자 8명을 담당하게 된다. 간병 기능 강화를 위해 간호조무사 배치를 최대 3.3배 확대한다.
현재 4개 병동까지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던 상급종합병원은 비수도권 소재 병원(23개)부터 2026년에 전면 참여를 허용하고, 수도권 소재 병원(22개)은 6개 병동까지 참여를 허용한다.
요양병원 간병 지원을 단계적으로 제도화한다. 2024년 7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10개 병원을 대상으로 1차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단계적 시범사업을 거쳐 2027년 1월부터 본 사업으로 전환한다.
퇴원 후 집에서도 의료ㆍ간호ㆍ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간병인력 공급기관 관리기준 마련 및 등록제 도입으로 서비스 품질을 높인다. 복지 용구(보조기기) 지원을 확대하고 간병ㆍ돌봄 로봇을 개발하여 복지와 경제 간 선순환 구조도 창출한다.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0) | 2024.04.23 |
---|---|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실시...재택의료서비스 확대 전망 (1) | 2024.01.31 |
‘2023년 사랑 나눔의 장’ 열려...어르신 돌봄 확대 (0) | 2023.12.16 |
"나는 내 집에서 살고 싶다"...장기요양재가수급자, 지역사회 계속 거주 지원 기반 마련 (0) | 2023.12.12 |
방문 요양보호사에 신분증형 녹음장비 보급...시범사업으로 11월까지 운용 (0)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