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 운영...학교 안팎 청소년지원 강화

정신건강

by 다온케어 2023. 7. 20. 10:00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우리나라의 2021년 0~17세 아동·청소년 자살률은 2000년대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통계청 '아동·청소년 삶의 질 2022 보고서'). 인구 10만 명당 2.7명으로 2015년(1.4명)의 2배가 됐다. 15~17세는 9.5명에 이른다. 대학 입시에 시달리는 나이다.

자살자 수 및 자살률 추이, 2011-2021
 

짐작할 수 있건대 “학업성적으로 인한 불안과 우울감으로 자해나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답한 학생이 25.9%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이를 반증해 준다.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의원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 학생 5176명과 학부모 185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끔찍하기 짝이 없다. 가장 중요한 청소년 시기에 이런 일들이 없었으면 하는 마음이지만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해야 하고 행한다는 게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이런 가운데 청소년들의 마음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민과 관에서 함께 추진되고 있으며 여성가족부가 함께 나서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13일 전라남도청 광장에서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대중 전남교육감, 에스케이(SK)·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 첫 시승식을 진행했다.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는 지난 3월 여성가족부 장관 약속1호 「청소년 마음건강을 돌보겠습니다!」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 다함께 나눔프로젝트’(대한상의)에 참여하는 에스케이(SK)의 후원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에는 청소년상담사와 지도사가 탑승해, 마음건강에 이상신호를 느끼는 청소년을 직접 찾아가 만나고, 상담을 통해 해당 청소년에게 필요한 맞춤 서비스를 안내・연계한다.

 

전남을 시작으로 처음 운영하게 되는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이하 버스)’는 아파트단지 등 주거지와 학교인근, 청소년 밀집지역, 도서·벽지 등으로 찾아가 청소년에게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청소년 지원 ‘공간(플랫폼)’(붙임2-1 참조)으로 기능하게 된다.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

버스에는 핸드폰 충전기와 와이파이, 컵라면 등 청소년이 자주 찾는 물품을 배치하고, 가상현실(VR)체험, 성격유형검사 등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버스에 대한 청소년의 친밀도와 접근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상담사는 초기 상담을 통해 버스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위기수준을 측정하고, 위기도와 문제유형에 따라 지역 내 청소년 기관으로 연계하여, 청소년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낮은 위기도 청소년에게는 청소년 진로지원 등 활동프로그램 연계를, 위기·고위기군 청소년에게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찾아가는 청소년 동반자,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등을 연계해 서비스한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13일 오후 전남도청 광장에서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대중 전남교육청 교육감, SK SUPEX추구협의회 조경목 위원장, 대한상공회의소 조영준 지속가능경영원장과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 커팅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여성가족부)

‘청소년 마음건강지킴이 버스’는 전라남도를 시작으로 내년까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경상남도 등 총 5개 권역에서 운행하고, 전국 단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청소년 마음건강 지킴이 버스’ 시승식에 앞서 여성가족부, 전라남도, 전라남도교육청은 학교 안팎 청소년 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청소년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여성가족부-지방자치단체-교육청 간 협력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는 관계기관 간 공감대가 형성돼 지난 10월부터 여성가족부에서 지자체, 교육청과 함께 해온 청정동행 중 처음으로 3개 기관이 동시에 체결하게 되었다.

 

청정동행(靑政同行)은 학교 안팎 청소년정책 연계․협력 강화를 위해 여성가족부․지자체․교육청 등 관계기관이 함께하는 MOU, 포럼 등을 말한다.

 

3개 기관은 ▲ 전남청소년행복성장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한 활동·복지·보호 서비스 종합적 제공, ▲ 온·오프라인 상담서비스 확대 및 고립·은둔형 청소년 등 고위기 청소년 발굴·지원, ▲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청소년 활동프로그램 개발·운영 및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확대 등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치매상담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