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3명 중 1명이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나도 그 중의 하나인 셈이다.
한때는 수돗물에서 염소?냄새가 나는 듯해서 마시지 못했다. 두려웠다. 혹시라도 병에 걸리면 어쩌지 하는 마음으로 두려워 끓여 마시는 정도만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음식을 끓여 사용할 때는 수돗물을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직접 마시는 물이 아닌 경우에는 생수나 정수물을 사용하는 것을 많이 보기도 했다. 어떤 이들은 라면을 끓일 때도 생수를 사용하는 모습도 봤다.
수돗물이 많은 시민의 일상과 직결되어 있는 만큼, 서울시는 더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해야 하겠다. 조금이라도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직접 확인하고 점검하고 보완해야 하겠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노후 수도관 교체’를 지원한다. 교체대상은 1994년 4월 이전에 건축된 수도배관이 아연도강관인 주택으로, 서울시가 공사비의 최대 80%까지 지원한다. 절호의 기회인 듯하다. 녹슨 수도관, 이번 기회에 꼭 교체하면 좋겠다.
서울시가 수돗물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음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깨끗한 수돗물의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택 노후 수도관’ 교체를 적극 지원한다.
서울시는 2007년부터 전국 최초로 낡고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을 쓰고 있는 주택을 대상으로 수도관 교체 공사비를 지원해왔다. 시는 지난해까지 1,932억 원을 투입해 교체대상(56만 5,000가구)의 87%인 49만 5,000가구의 낡은 수도관 교체를 지원했다.
올해 기준 서울시내 수도관 교체가 필요한 잔여 가구는 6만 9,000가구로, 시는 잔여 가구 전량 교체를 목표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618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원 금액은 전체 공사비의 최대 80%다. ▴단독주택은 최대 150만 원 ▴다가구 주택은 가구수별 차등하여 최대 500만 원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세대 당 최대 140만 원(세대배관 80만 원, 공용배관 60만 원)까지 지원된다.
지원내용 (공사비용의 최대 80% 이내)
구분
|
최대 지원비용
|
표준지원공사비 세부내용
|
||||||||
단독주택
|
최대 150만원
|
130만원 + (연면적 - 50m²) X 3,850원
|
||||||||
다가구주택
|
최대 500만원
|
200만원 + (연면적 - 50m²) X 10,000원
|
||||||||
가구수
|
2
|
3
|
4
|
5
|
6
|
7이상
|
||||
최대지원금(만원)
|
200
|
260
|
320
|
380
|
440
|
500
|
||||
공동주택
|
세대급수관
|
교체
|
세대당
최대 80만원 |
75만원 + (주거전용면적 - 33m²) X 960원
|
||||||
갱생
|
세대당
최대 60만원 |
50만원 + (주거전용면적 - 33m²) X 1,920원
|
||||||||
공용급수관
|
세대당
최대 60만원 |
○ 냉수관 : 세대당 최대 40만원
○ 온수관 : 세대당 최대 20만원 (중앙·지역난방) |
※ 사회복지시설 및 기초생활수급자 등은 공사비 전액 지원
지원 대상은 1994년 4월 이전에 건축되고 내부 수도관이 녹에 취약한 아연도강관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주택이다. 재건축, 재개발 등에 의한 사업승인인가 이전단계의 경우에도 교체비 지원이 가능하다.
대상여부 확인 및 신청 안내 등 관련 상담은 다산콜재단(02-120) 또는 지역별 관할 수도사업소로 전화하면 된다. 담당 직원이 각 가정을 방문해 수도관 상태를 확인하고, 지원 대상여부를 판단하여 지원 대상일 경우 지원 절차, 공사비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시는 지난해 수도관을 교체한 가정을 대상으로 교체 전‧후 2회에 걸쳐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수도관 교체 후 수질개선 효과가 컸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지난해 공사비 지원을 받은 1,212가구를 대상으로 수도관 교체 전‧후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물의 흐림 정도를 판단하는 탁도가 63% 개선돼 수질개선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노후 수도관 교체 지원 문의
○ 다산콜재단 : 02-120
○ 거주지별 관할 수도사업소
거주지역
|
접수기관
|
전화번호
|
중구, 종로구, 용산구, 성북구
|
중부수도사업소
|
02-3146-2000
|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
서부수도사업소
|
02-3146-3500
|
성동구, 광진구, 중랑구, 동대문구
|
동부수도사업소
|
02-3146-2600
|
노원구, 강북구, 도봉구
|
북부수도사업소
|
02-3146-3200
|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
강서수도사업소
|
02-3146-3800
|
관악구, 동작구, 영등포구, 금천구
|
남부수도사업소
|
02-3146-4400
|
강남구, 서초구
|
강남수도사업소
|
02-3146-4700
|
송파구, 강동구
|
강동수도사업소
|
02-3146-5000
|
여성장애인 출산지원금은 어떻게 받나?...미신청자 발굴 강화 체계구축 (1) | 2022.10.05 |
---|---|
서울 전입 청년 6000명에 식기·공구세트 지원..."서울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1) | 2022.09.27 |
내년 예산 4대 핵심 과제 중심 추진...올해보다 8.7조 늘어나 (2) | 2022.09.19 |
포기할 때 아니다...태풍피해 종합금융지원 포항, 경주 상담센터 가동 (0) | 2022.09.13 |
지역사회 통합돌봄...어르신과 취약계층의 안전한 삶 기대 (0)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