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싱, 랜섬 등 추악한 일들이 우리 주위를 감싸고 공격하고 있다. 지식인이든 전문가든 가리지 않고 침습하는 사악한 무리들이 온갖 구실과 방법을 동원해 일하지 않고 돈을 착취하고 있다.
그래도 자신들이 잘못하는 일인지는 아는지 숨어서 한다. 디지털에 취약한 어르신들이 특히 더 당하기 쉽다. 한가위 선물이나 배송을 구실로 공격을 하기도 한단다.
아무리 주의를 해도 당하는 거야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최선을 다해 막아 보도록 하자. 특별히 부모님들께 더 주의를 드리도록 하자.
안랩이 추석을 앞두고 ‘부모님께 알려드려야 할 추석 3대 보안수칙’을 발표했다. 악성코드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등 노년층을 노린 보안 위협이 점차 교묘해지는 가운데, 올 추석 부모님들을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드리기 위한 필수적인 보안수칙들을 살펴본다.
안랩이 이번에 발표한 추석 보안수칙은 ▲문자 메시지·메신저로 전달받은 앱(.apk) 설치 금지 ▲문자로 자녀 등 가족의 긴급요청을 받아도 꼭 전화로 직접 확인하기 ▲인터넷 콘텐츠 다운로드는 정식경로 이용 등이다.
1. 문자·메신저로 오는 전달받은 앱(.apk)은 설치 X
공격자는 저금리 대출, 정부 지원금에서부터 택배 미수령까지 명절을 앞두고 생활밀착형 주제의 문자 메시지에 전화번호 또는 메신저 아이디를 넣어 사용자의 연락을 유도한다. 문자 메시지 내 전화번호나 아이디로 연락하면, 연락을 받은 공격자는 다양한 이유를 들며 금융앱 등을 위장한 악성 앱 설치파일(.apk)을 전달하며 설치할 것을 유도한다. 사용자가 무심코 악성 앱을 설치하면 사용자의 휴대전화 속 정보가 유출될 뿐만 아니라, 경찰 또는 금융기관의 정상번호로 통화를 시도해도 이를 가로채 공격자에게 연결해 신고나 확인을 가로막고 보이스피싱 사기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고도화된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선 부모님에게 ‘정상 금융 서비스에선 문자와 전화로 앱 설치를 절대로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려드려야 한다. 또한, 앱은 반드시 공식 앱스토어 등 정식 경로에서만 다운로드하고 모바일 백신을 미리 설치하는 것도 피해를 막기 위한 주요 보안 수칙이다.
2. 가족으로부터 긴박한 요청이 오더라도 꼭 ‘전화’로 확인
명절이 다가오면 자녀의 연락을 기다리는 장노년층이 많다. 공격자들은 이런 상황을 노려 자녀를 사칭해 ‘핸드폰을 분실했다’, ‘액정이 파손됐다’며 다급한 내용의 문자나 메신저를 보낸다. 이후 공격자는 자연스러운 말투로 문화상품권 구매 후 일련번호 전송, 신분증 사진 요구, 정상 앱으로 위장한 악성 앱 설치 등을 유도한다. 악성 앱을 설치하면 휴대전화 내 저장된 각종 정보가 탈취되며, 이를 악용해 금전적 손실이나 추가 보이스피싱 공격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부모님들이 자녀나 가족 구성원의 긴박한 입금 요청 등의 문자를 받으면 정상적인 판단이 어려울 수 있어, 이런 경우 반드시 메시지를 보낸 본인에게 직접 전화해 사실 관계를 확인하라고 당부해야 한다. 또, 혹시 모를 악성 앱 설치에 대비해 부모님의 스마트폰에 모바일 백신을 미리 설치해두는 것도 필요하다.
3. 인터넷에서 노래나 영화 다운로드는 꼭 공식사이트에서
최근 장노년층은 온라인 검색, 유튜브 영상 시청 등 PC를 이용한 인터넷 활용도가 높으며, 추석 전후에는 이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공격자는 이 점을 노려 중장년층이 관심있어 하는 검색 키워드를 악용해 악성코드 파일을 유포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작년 안랩이 ‘블루크랩 랜섬웨어 동향’을 분석한 결과, 공격자는 장노년층이 즐겨듣는 ‘트로트 메들리.mp3’를 비롯해 유명 트로트 가수, 노래 이름을 이용해 가짜 사이트를 만들어 랜섬웨어를 유포하기도 했다. 또, 최근에는 유튜브에 각종 파일 다운로드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을 올린 후 상세설명란에 악성코드 다운로드 페이지로 연결되는 악성 URL을 포함하는 방식의 공격도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유튜브 사용이 잦은 장노년층은 더욱 조심해야 한다.
PC 이용 시 악성코드 감염을 막기 위해서 부모님에게 음악, 영화 등 콘텐츠는 반드시 공식 경로에서 다운로드 해야함을 안내해야 한다. 또, 백신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실시간 감시 기능을 실행해 악성코드 감염에 대비해야 한다.
명절에는 가족의 연락을 기다리는 부모님들의 마음을 이용하거나 인터넷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려는 장노년층을 노린 사이버 공격이 성행할 수 있어 자녀들의 각별한 관심이 필수적이고 부모님들을 도와 드려야 하겠다.
10% 할인 '서울사랑상품권' 6개구 추가 발행…어디서 사나? (0) | 2022.11.11 |
---|---|
'장기전세주택' 업그레이드...7만호 공급으로 취약계층에 숨터 줄까? (0) | 2022.09.14 |
청년 5,000명에 이사비 최대 40만원...나는 해당될까? (0) | 2022.09.06 |
연무대까지 KTX로 간다...논산-대전 철길 열려 (0) | 2022.08.29 |
‘주민세 개인분’ 납부기한은 언제?...8월 31일까지 (0) | 2022.08.25 |